Art School

페리지아트스쿨은 ㈜KH바텍이 문화예술을 통한 사회공헌을 위하여 무료로 운영하는 미술을 사랑하는 대중을 위한 현대미술교육프로그램입니다.

페리지 아트스쿨에서는 윤원화, 임산 선생님의 강의를 준비하였습니다. 지금 한국 현대미술에서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두 가지 주제인 신생공간을 중심으로 한 젊은 작가들의 작업을 어떻게 바라 볼 것인가와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기획과 프로그램을 살펴보는 것은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이러한 강좌들을 통해 당대에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작가들의 미술 활동과 작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또한 앞으로 한국 현대미술이 어떻게 파생되어 나갈지 가늠해 볼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장소 : 페리지갤러리 B2 페리지 홀
3시~5시

Apply

7.6. THU
지금은 무슨 시간인가? : 당대에 대한 가설적 인식들 (마감)
‘무시간성’에서 ‘포스트-컨템포러리’까지, 최근 대규모 국제 전시들에서 제안된 다양한 시간적 틀을 살펴보면서 2010년대의 과도기적 성격을 검토한다.
윤원화 (시각문화 연구자)
7.13. THU
눈과 손 사이를 내려다보기 : 잔여적인 것으로서 신체의 발견 (마감)
신체를 확장하고 절단하는 디지털 미디어의 작용 속에서, 어떻게 작가들이 존재의 근간이자 작업의 도구로서 신체와 그 부속물들를 재발견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윤원화 (시각문화 연구자)
7.20. THU
순환을 흉내내기 : 상품 경제의 무대화가 의미하는 것 (마감)
물질적 작품 제작과 비물질적 이벤트 창출의 이분법을 우회해서, 유통을 위한 사물을 도입하여 순환을 상연하는 유사 상업적 작업 방식과 그 맥락을 조망한다.
윤원화 (시각문화 연구자)
7.27. THU
피난처에 대한 탐구 : 미술을 하는 방법으로서 건축적 리서치 (마감)
각목과 합판을 자르고 쌓아 올려서 유용하거나 무용한 사물을 축조하는 작가들을 추적하면서, 어떻게 구축의 행위로 미술의 실천을 변형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윤원화 (시각문화 연구자)
8.3. THU
공동체기반 예술 프로그램: 유행인가, 대안인가? (마감)
최근 국내에서 다양한 공동체 기반 예술 프로그램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상을 분석한다. 공동체를 표상하는 여러 이슈들, 예술가의 정체성, 예술가의 사회적 역할 등의 문제를 둘러싼 공동체 예술적 활동들의 개념적 기반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임산 (동덕여대 큐레이터학과 교수)
8.10. THU
다시 주목하는 앨런 캐프로우(Allan Kaprow): 참여, 프로세스, 문화정치 (마감)
‘해프닝’의 선구자 앨런 캐프로우의 작품과 문헌들을 통해 그의 예술적 창안을 공동체 예술의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체험과 참여에 기초한 인식론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 존 듀이(John Dewey)의 이론을 비롯하여 당대 미국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맥락 등을 함께 살핀다.
임산 (동덕여대 큐레이터학과 교수)
8.17. THU
사회 참여적 예술교육의 실천들 (마감)
일상의 시각문화 체험 속에 체화되어 있는 문화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의미작용들을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평가하고 재구성함으로써 창의적인 문화 생산의 사회정치학적 차원에 참여하는 동시대 아트 에듀케이터(art educator)의 프로젝트들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생각해본다.
임산 (동덕여대 큐레이터학과 교수)
8.24. THU
공동체 문화개발의 큐레이터십(curatorship) (마감)
주류 미술제도의 규범에 갇히지 않고 공동체의 이슈와 문제의식을 협업적으로 표출하는 방식을 조직화하는 큐레이팅의 의의를 살펴본다. 예술을 문화적 표현의 상징적 도구로 활용하고, 공동체 구성원들 사이에 대화와 반성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개발적 실천의 의의를 찾는다.
임산 (동덕여대 큐레이터학과 교수)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의 현대미술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우리 나라의 현대미술의 흐름을 살펴 봄으로써 앞으로의 대한민국의 현대미술이 어떻게 형성이 되어왔고 앞으로 어떻게 진행되어 나갈지 가늠해 볼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이번 페리지아트스쿨에서는 두 분의 강사를 통해 한국 현대미술에 시기별로 구분하여 살펴 볼 수 있는 강의를 준비하였습니다.

장소 : 페리지갤러리 B2 페리지 홀
3시~5시

Apply

1.3. TUE
탈주선 : 1960~70년대 실험미술 (마감)
1960년 국전에 반대한 ‘벽전’으로부터 1967년의 한국청년작가연립전과 1970년대 제4집단의 ‘기성문화예술장례식’, 김구림의 대지예술, 한국AG의 활동 등 6,70년대 한국 실험미술을 되돌아본다.
최태만 (국민대교수)
1.10. TUE
공허한 여백 : 모노크롬으로부터 단색화까지 (마감)
1960년대 앵포르멜 회화의 경화와 1970년대 에콜드서울 등에서 나타난 모노크롬 경향에서볼 수 있는 집단개성과 2000년대 이후 나타난 단색화란 개념에 대해 조명한다.
최태만 (국민대교수)
1.17. TUE
광장으로부터의 외침 : 1980년대 민중미술 (마감)
1980년에 형성된 민중미술운동의 형성, 전개, 확산과정을 유신체제의 종식, 신군부의 등장, 민주화운동이란 사회정치적 상황에서 고찰한다.
최태만 (국민대교수)
1.24. TUE
분산하는 광원(光源) : 1990년대 이후 한국미술 (마감)
1988서울올림픽을 전후하여 나타난 개방과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의 대두와 함께 나타난 미술의 특징을 고찰한다.
최태만 (국민대교수)
2.2. THU
한국의 작가들 : 1999년 ~ 현재의 새로운 경향의 한국 작가 및 작품 (마감)
1999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 미술을 이끌어가는 새로운 경향의 작가 및 작품을 소개한다.
김인선 (윌링앤딜링 아트컨설팅 대표)
2.9. THU
미술 시스템 : 2000년대 한국 미술계의 시스템 지형도 (마감)
대안공간의 등장과 함께 새로운 지형을 그리게 된 한국 미술계의 시스템과 기존 시스템을 살펴보고 그 공존에 대하여 살펴본다.
김인선 (윌링앤딜링 아트컨설팅 대표)
2.16. THU
현대미술 전시와 감상 : 현대미술의 다양한 전시의 성격과 관람 (마감)
현대미술의 다양한 세대와 작업별 다른 특징을 수용하는 제도, 시스템, 공간의 성격 등에 따른 전시의 성격과 그 관람에 대하여 파악한다.
김인선 (윌링앤딜링 아트컨설팅 대표)
2.23. THU
미술활동의 전략들 : 작가, 기획자, 관람자, 컬렉터의 예술참여 (마감)
미술씬을 이루는 작가, 기획자, 관람자, 컬렉터 등이 예술에 참여하는 방식과 그 전략에 대하여 살펴보고 현대미술에 대한 지원과 이를 활용하는 작가들의 활동을 살펴본다.
김인선 (윌링앤딜링 아트컨설팅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