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토벤 트리오
2025. 09. 26. 금. 19:30
Violin : 파벨 베르만(Pavel Berman)
Cello : 비토리오 체칸티(Vittorio Ceccanti)
Piano : 박종훈
90분 (인터미션 : 15분)
미취학 아동 입장 불가
일반 30,000원
학생 15,000원
대학원생까지(학생증 지참 필수)
← 리스트 보기
Violinist ㆍ 파벨 베르만
ㆍ 모스크바 출신, 줄리어드 음대 및 차이콥스키 음악원 졸업
ㆍ 1990년 인디애나폴리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1위, 금메달 수상
ㆍ 뉴욕의 카네기 홀, Theatre des Champs, 파리의 엘리제와 살 게바우, 뮌헨의 헤르쿨레사알, 마드리드의 오디토리오 나시오날, 쿄의 분카카이칸, 극장 알라 스칼라, 밀라노, 브뤼셀의 팔레 데 보자르 등 세계 주요 무대에서 연주
ㆍ 모스크바 비르투오시, 만토바 챔버 오케스트라, 하이든과 볼자노 오케스트라, 토스카니니니, 파르마 심포니, 베로나 심포니 오케스트라, 제노바 극장 오케스트라, RAI 오케스트라, 토리노, 베니스 라 페니체 오케스트라, 산타 체칠리아 오케스트라, 모스크바 심포니 오케스트라, 프라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프라하 심포니, 루마니아 국립 라디오 오케스트라, 포르투갈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 리버풀 로열 필하모닉, 리스보아 극장, 베를린 교향악단 슈타츠카펠레 드레스덴, 뷔르템베르크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빌뉴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인디애나폴리스 심포니, 애틀랜타 심포니, 댈러스 심포니, 베이징 필하모닉 등과 협연
ㆍ 1998년 리투아니아에 카우나스 챔버 오케스트라를 설립
ㆍ 오케스트라와 카우나스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
ㆍ Koch International, Audiofon, Discover, Phoenix Classics 및 Dynamic에서 녹음
ㆍ 아이작 스턴 사사
Cellist ㆍ 비토리오 체칸티
ㆍ 슈투트가르트의 Hochschule fur Musik 졸업
ㆍ 여러 국제적인 상을 수상하며 17살의 나이에 솔로로 데뷔
ㆍ 오스트리아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ORF)와 함께 지휘하는 랄로 첼로 협주곡 빈에 있는 살의 음악당에서 핀차스 슈타인베르크와 연주
ㆍ 나폴리의 산 카를로 극장에서 생상스 첼로 협주곡 연주, RAI-TV에서 방송 방영
ㆍ 유럽과 미주, 그리고 솔로 가수로서 정기적인 공연에 초청
ㆍ 클래식 레퍼토리에서 가장 중요한 첼로 협주곡을 연주하는 Dvorak, Schumann, Haydn, Schostakovich, Beethoven Triple, Tchaikovsky Rococo Variations, with conductor like Steinberg, Maxwell Davies, Neuhold, Urbini, Caldi, Pinzauti, Lupes, Balan, Garbarino, Kim, de Vriend, Sardelli과 같은 지휘자와 함께 연주
ㆍ Maxim Vengerov, Vadim Repin, Ivry Gitlis, Toby Hofmann, Pietro De Maria, Boris Berezovsky, Andrea Lucchesini, Maxence Larrieu, Konstantin Bogino, Franco Petracchi, Jeffrey Swann 등 실내악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저명한 음악가들과 정기적으로 공연
ㆍ 15년 동안 피아니스트 Bruno Canino와 긴밀한 협업
ㆍ 현대 음악을 장려하는 콘트포 아르테 페스티벌 Constempo Artemble 회장
ㆍ Constembly 창립
ㆍ 수많은 월드 프리미어 연주 및 지휘
ㆍ 다비드 게링가스, 나탈리아 구트만 사사
Pianist ㆍ 박종훈
ㆍ 줄리어드 음대 및 이몰라 피아노 아카데미 졸업
ㆍ 카네기홀, 베를린 필하모닉홀, 상트 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아 홀을 비롯한 세계 50여 도시에서 독주회 및 실내악 연주
ㆍ 2002, 2003, 2009, 201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출연, 직접 작곡한 피아노 협주곡 연주
ㆍ 이탈리아 구비오 페스티벌, 서울 스프링 페스티벌 등 다수의 실내악 페스티벌 연주
ㆍ 상트페테르부르그 심포니, 브르노 필하모닉, 슬로박 필하모닉, 서울시향, KBS 국내외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
ㆍ 한국 피아니스트 최초로 리스트 초절기교 연습곡 완주
ㆍ Warner, EMI, Universal 등의 음반사에서 30여 장 음반 발표
ㆍ 2014-2016년 예술의전당 ‘11시 콘서트’ 해설 및 진행자로 활약
ㆍ 피아니스트, 작곡가, 프로듀서, 방송인, 배우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KBS 다큐·드라마 음악감독, 예능·드라마 출연까지 활발하게 활동
ㆍ 라자르 베르만 사사
ㆍ 현재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피아노과 교수로 재직 중
[PROGRAM]
L. v. Beethoven
Piano Trio in E-flat Major, Hess 48
Allegretto
L. v. Beethoven
Piano Trio in E-flat Major, Op. 70 No. 2
I. Poco sostenuto – Allegro, ma non troppo
II. Allegretto
III. Allegretto ma non troppo
IV. Finale. Allegro
L. v. Beethoven
Piano Trio in E-flat Major, Op. 1 No. 1
I. Allegro
II. Adagio cantabile
III. Scherzo. Allegro assai
IV. Finale. Presto
ㆍ 모스크바 출신, 줄리어드 음대 및 차이콥스키 음악원 졸업
ㆍ 1990년 인디애나폴리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1위, 금메달 수상
ㆍ 뉴욕의 카네기 홀, Theatre des Champs, 파리의 엘리제와 살 게바우, 뮌헨의 헤르쿨레사알, 마드리드의 오디토리오 나시오날, 쿄의 분카카이칸, 극장 알라 스칼라, 밀라노, 브뤼셀의 팔레 데 보자르 등 세계 주요 무대에서 연주
ㆍ 모스크바 비르투오시, 만토바 챔버 오케스트라, 하이든과 볼자노 오케스트라, 토스카니니니, 파르마 심포니, 베로나 심포니 오케스트라, 제노바 극장 오케스트라, RAI 오케스트라, 토리노, 베니스 라 페니체 오케스트라, 산타 체칠리아 오케스트라, 모스크바 심포니 오케스트라, 프라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프라하 심포니, 루마니아 국립 라디오 오케스트라, 포르투갈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 리버풀 로열 필하모닉, 리스보아 극장, 베를린 교향악단 슈타츠카펠레 드레스덴, 뷔르템베르크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빌뉴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인디애나폴리스 심포니, 애틀랜타 심포니, 댈러스 심포니, 베이징 필하모닉 등과 협연
ㆍ 1998년 리투아니아에 카우나스 챔버 오케스트라를 설립
ㆍ 오케스트라와 카우나스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
ㆍ Koch International, Audiofon, Discover, Phoenix Classics 및 Dynamic에서 녹음
ㆍ 아이작 스턴 사사
Cellist ㆍ 비토리오 체칸티
ㆍ 슈투트가르트의 Hochschule fur Musik 졸업
ㆍ 여러 국제적인 상을 수상하며 17살의 나이에 솔로로 데뷔
ㆍ 오스트리아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ORF)와 함께 지휘하는 랄로 첼로 협주곡 빈에 있는 살의 음악당에서 핀차스 슈타인베르크와 연주
ㆍ 나폴리의 산 카를로 극장에서 생상스 첼로 협주곡 연주, RAI-TV에서 방송 방영
ㆍ 유럽과 미주, 그리고 솔로 가수로서 정기적인 공연에 초청
ㆍ 클래식 레퍼토리에서 가장 중요한 첼로 협주곡을 연주하는 Dvorak, Schumann, Haydn, Schostakovich, Beethoven Triple, Tchaikovsky Rococo Variations, with conductor like Steinberg, Maxwell Davies, Neuhold, Urbini, Caldi, Pinzauti, Lupes, Balan, Garbarino, Kim, de Vriend, Sardelli과 같은 지휘자와 함께 연주
ㆍ Maxim Vengerov, Vadim Repin, Ivry Gitlis, Toby Hofmann, Pietro De Maria, Boris Berezovsky, Andrea Lucchesini, Maxence Larrieu, Konstantin Bogino, Franco Petracchi, Jeffrey Swann 등 실내악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저명한 음악가들과 정기적으로 공연
ㆍ 15년 동안 피아니스트 Bruno Canino와 긴밀한 협업
ㆍ 현대 음악을 장려하는 콘트포 아르테 페스티벌 Constempo Artemble 회장
ㆍ Constembly 창립
ㆍ 수많은 월드 프리미어 연주 및 지휘
ㆍ 다비드 게링가스, 나탈리아 구트만 사사
Pianist ㆍ 박종훈
ㆍ 줄리어드 음대 및 이몰라 피아노 아카데미 졸업
ㆍ 카네기홀, 베를린 필하모닉홀, 상트 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니아 홀을 비롯한 세계 50여 도시에서 독주회 및 실내악 연주
ㆍ 2002, 2003, 2009, 201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출연, 직접 작곡한 피아노 협주곡 연주
ㆍ 이탈리아 구비오 페스티벌, 서울 스프링 페스티벌 등 다수의 실내악 페스티벌 연주
ㆍ 상트페테르부르그 심포니, 브르노 필하모닉, 슬로박 필하모닉, 서울시향, KBS 국내외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
ㆍ 한국 피아니스트 최초로 리스트 초절기교 연습곡 완주
ㆍ Warner, EMI, Universal 등의 음반사에서 30여 장 음반 발표
ㆍ 2014-2016년 예술의전당 ‘11시 콘서트’ 해설 및 진행자로 활약
ㆍ 피아니스트, 작곡가, 프로듀서, 방송인, 배우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KBS 다큐·드라마 음악감독, 예능·드라마 출연까지 활발하게 활동
ㆍ 라자르 베르만 사사
ㆍ 현재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피아노과 교수로 재직 중
[PROGRAM]
L. v. Beethoven
Piano Trio in E-flat Major, Hess 48
Allegretto
L. v. Beethoven
Piano Trio in E-flat Major, Op. 70 No. 2
I. Poco sostenuto – Allegro, ma non troppo
II. Allegretto
III. Allegretto ma non troppo
IV. Finale. Allegro
L. v. Beethoven
Piano Trio in E-flat Major, Op. 1 No. 1
I. Allegro
II. Adagio cantabile
III. Scherzo. Allegro assai
IV. Finale. Pre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