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
PERIGEE GALLERY의 새로운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209
[이데일리] 포도 껍질 속 터지는 과육...기계 속 윤활유와 다르지 않더라
2021-06-14
정성윤 개인전 '포도의 맛' 기계 표면·내부장치 상호관계 주목
"완벽한듯 오류 쌓이는 기계의 내부"
"고정된 실페 없는 세상 이치 닮은꼴"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기계는 뚜렷한 목적을 가진 물체다. 핸드폰, TV, 노트북 등 기계는 입력된 값에 따라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수행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기계 내부 부품들은 목적에 따라 끊임없이 움직인다. 이때 기계가 원활히 돌아가기 위해서는 기계의 겉과 내면의 마찰면 사이에 바르는 윤활유가 필수적이다. 끈끈한 점막같은 형태의 윤활유를 통해 기계의 겉과 내면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과 분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평소 기계 장치의 움직임을 다양한 설치·퍼포먼스·영상 등의 작품으로 선보여 온 정성윤 작가는 기계의 표면과 내부 장치의 상호 관계에 대해 주목했다. 정 작가는 지난 10일부터 서울 서초구 페리즈 갤러리에서 개인전 ‘포도의 맛’(a mucous membrane)을 개최했다. 그는 이번 전시에서 ‘두 개의 타원’, ‘뱀과 물’, ‘래빗’ 등 설치 작품 3점과 영상 작업 ‘아말감’ 등 총 4편의 신작을 선보인다.
작가가 기계의 내부에 주목한 이유는 기계의 표면과 내부가 상호 작용하며 생기는 변화 때문이다. 그는 “기계가 오차 없이 작업을 수행할 것 같지만, 움직임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어느 순간 완벽하게 통제되지 않을 때가 생긴다”며 “이런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쌓이면서 결국 처음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것이 탄생하기도 하는데, 이는 고정된 실체가 없는 세상의 이치를 드러내는 것 같았다”고 설명했다. 작가는 이런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이 기계 속의 윤활유, ‘투명한 점막’이라고 표현했다.
이번 전시 작품들도 끊임없이 움직이면서 변화한다. ‘두 개의 타원’은 겹쳐진 두개의 타원이 서로 반대로 움직인다. 검은 타원의 외곽선은 물결치듯 끊임없이 변화한다. ‘뱀과 물’은 자동차에 쓰이는 파마자오일이 서로 맞물려 있는 6개의 롤러를 타고 꼭대기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면서 다양한 표면을 만들어낸다. ‘래빗’은 언뜻 보면 움직이지 않지만,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동그란 원이 움직이면서 생긴 궤적을 입체 작업으로 구현한 것이다.
전시 제목 ‘포도의 맛’은 투명한 점막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전체 전시의 느낌을 시각, 촉각, 미각 등 감각적으로 극대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해 고안했다. 포도 껍질의 질감과 입에 넣고 벗겨냈을 때 과육의 맛, 냄새가 유발하는 감각들이 기계 속의 윤활유와 닮았다고 작가는 설명했다.
한 발 나아가 정 작가는 “사람도 기계의 하나라 볼 수 있다”고 확장한다. 어린 시절부터 기계의 내면에 깊은 호기심을 가져 그는 로봇 그림을 그려도 겉모습뿐만 아니라 기계 내장도 옆에 함께 그렸다. 라디오 같은 기계를 해체해 그 내부를 보기도 했다. 그는 “그 과정이 마치 의사가 환자를 수술하는 것만 같았다”며 “사람 몸 속에도 장기와 끈끈한 피가 있듯, 기계 속에도 부품과 윤활유가 있었다”고 말했다. 또 유기적으로 연결된 사람의 육체 기관들이 끊임없이 기능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진화하거나 퇴화하는 과정도 기계와 닮아있다고 부연했다.
신승오 페리지 갤러리 디렉터는 “고정돼 있지 않은 작가의 작품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유무형의 것이 상호작용하는 시공간을 일시적으로 드러나게 한다”며 “관람객들이 작품을 보며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사유의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8월 7일까지.
"완벽한듯 오류 쌓이는 기계의 내부"
"고정된 실페 없는 세상 이치 닮은꼴"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기계는 뚜렷한 목적을 가진 물체다. 핸드폰, TV, 노트북 등 기계는 입력된 값에 따라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수행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기계 내부 부품들은 목적에 따라 끊임없이 움직인다. 이때 기계가 원활히 돌아가기 위해서는 기계의 겉과 내면의 마찰면 사이에 바르는 윤활유가 필수적이다. 끈끈한 점막같은 형태의 윤활유를 통해 기계의 겉과 내면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과 분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평소 기계 장치의 움직임을 다양한 설치·퍼포먼스·영상 등의 작품으로 선보여 온 정성윤 작가는 기계의 표면과 내부 장치의 상호 관계에 대해 주목했다. 정 작가는 지난 10일부터 서울 서초구 페리즈 갤러리에서 개인전 ‘포도의 맛’(a mucous membrane)을 개최했다. 그는 이번 전시에서 ‘두 개의 타원’, ‘뱀과 물’, ‘래빗’ 등 설치 작품 3점과 영상 작업 ‘아말감’ 등 총 4편의 신작을 선보인다.
정성윤 ‘뱀과 물’(Snakes and Water, 2021), 롤러·모터·오일 등, 400×2,000×400mm(사진=페리지 갤러리)
작가가 기계의 내부에 주목한 이유는 기계의 표면과 내부가 상호 작용하며 생기는 변화 때문이다. 그는 “기계가 오차 없이 작업을 수행할 것 같지만, 움직임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어느 순간 완벽하게 통제되지 않을 때가 생긴다”며 “이런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쌓이면서 결국 처음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것이 탄생하기도 하는데, 이는 고정된 실체가 없는 세상의 이치를 드러내는 것 같았다”고 설명했다. 작가는 이런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이 기계 속의 윤활유, ‘투명한 점막’이라고 표현했다.
이번 전시 작품들도 끊임없이 움직이면서 변화한다. ‘두 개의 타원’은 겹쳐진 두개의 타원이 서로 반대로 움직인다. 검은 타원의 외곽선은 물결치듯 끊임없이 변화한다. ‘뱀과 물’은 자동차에 쓰이는 파마자오일이 서로 맞물려 있는 6개의 롤러를 타고 꼭대기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면서 다양한 표면을 만들어낸다. ‘래빗’은 언뜻 보면 움직이지 않지만,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동그란 원이 움직이면서 생긴 궤적을 입체 작업으로 구현한 것이다.
전시 제목 ‘포도의 맛’은 투명한 점막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전체 전시의 느낌을 시각, 촉각, 미각 등 감각적으로 극대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해 고안했다. 포도 껍질의 질감과 입에 넣고 벗겨냈을 때 과육의 맛, 냄새가 유발하는 감각들이 기계 속의 윤활유와 닮았다고 작가는 설명했다.
한 발 나아가 정 작가는 “사람도 기계의 하나라 볼 수 있다”고 확장한다. 어린 시절부터 기계의 내면에 깊은 호기심을 가져 그는 로봇 그림을 그려도 겉모습뿐만 아니라 기계 내장도 옆에 함께 그렸다. 라디오 같은 기계를 해체해 그 내부를 보기도 했다. 그는 “그 과정이 마치 의사가 환자를 수술하는 것만 같았다”며 “사람 몸 속에도 장기와 끈끈한 피가 있듯, 기계 속에도 부품과 윤활유가 있었다”고 말했다. 또 유기적으로 연결된 사람의 육체 기관들이 끊임없이 기능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진화하거나 퇴화하는 과정도 기계와 닮아있다고 부연했다.
신승오 페리지 갤러리 디렉터는 “고정돼 있지 않은 작가의 작품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유무형의 것이 상호작용하는 시공간을 일시적으로 드러나게 한다”며 “관람객들이 작품을 보며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사유의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8월 7일까지.
정성윤 ‘래빗’(Rabbit, 2021), 알류미늄, 800×800×800mm(사진=페리지 갤러리)
김은비 기자 2021.06.14 (기사원문: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43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