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s
PERIGEE ARTIST #10 잭슨홍
Autopilot
2016.09.08. THU ~
2016.11.12. SAT
오늘 그리고 다시 오늘
신승오(페리지갤러리 디렉터)
고정된 관념과 틀은 그 경계를 아무리 모호하게 하여도 지워지지 않는다. 현대미술에서도 지속적으로 이러한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 다양한 실험을 해보지만 그저 단 한번에 해프닝이 되어버리거나 그 자체가 애매한 경계에서 또 다른 영역을 구축해 버린다. 잭슨홍의 작업들은 순수미술과 디자인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을 해왔기 때문에 이러한 경계 사이를 살펴보는 관점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작업 해석의 관점도 역시 또 다른 구속된 틀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구심이 들기도 한다. 이러한 부분들을 유념하면서 초기부터 최근까지 작품들을 통해 그의 작업 특징과 경향을 다시 살펴보자.
초기의 <Iron Chair X>, <Saw Chair>, <Masked Citizen X>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의자와 도구로서의 가면을 디자인하여 선보였었다. 외형적으로는 깔끔하게 디자인 방식으로 제작 되어 있지만, 사용하기 불편하거나 위험한 물건으로 만들어 버린다. 그리고 불필요한 기능들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바로 확인 할 수 있는 작업들이다. <Common Sense>는 제품의 설명서와 같이 도구 자체에 사용법을 유추 할 수 있는 텍스트를 사용한 작업들과 <Ectoplasma>에서 선보였던 작품들은 공산품의 외형을 미니멀한 조각처럼 보여주고 있다. 그 이후의 <13 Balls&....
Today, and Again Today
By Shin Seung-oh, Director of Perigee Gallery
Fixed notions and frames cannot be shattered with ease no matter how hard we try to blur their boundaries. In contemporary art, endeavors and experiments to blur such boundaries have been consistently conducted but they are considered simple incidents or such endeavors themselves establish their own domain. As Jackson Hong has worked at the border between fine art and design, his work can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apropos of such a border. In a sense, however, such a perspective may work as a frame to confine interpretations of his work. The features and tendencies of his works from juvenilia to recent pieces are examined while giving attention to such points.
His early works such as Iron Chair X, Saw Chair, and Masked Citizen X display designs of chairs and a mask as a tool. They are seemingly tidy in terms of design, but inconvenient and even dangerous for use. Users are able to visually check their unnecessary function immediately. Common Sense employs a text that hints at how to use a tool as in a product manual, and works exhib....
신승오(페리지갤러리 디렉터)
고정된 관념과 틀은 그 경계를 아무리 모호하게 하여도 지워지지 않는다. 현대미술에서도 지속적으로 이러한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 다양한 실험을 해보지만 그저 단 한번에 해프닝이 되어버리거나 그 자체가 애매한 경계에서 또 다른 영역을 구축해 버린다. 잭슨홍의 작업들은 순수미술과 디자인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을 해왔기 때문에 이러한 경계 사이를 살펴보는 관점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작업 해석의 관점도 역시 또 다른 구속된 틀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구심이 들기도 한다. 이러한 부분들을 유념하면서 초기부터 최근까지 작품들을 통해 그의 작업 특징과 경향을 다시 살펴보자.
초기의 <Iron Chair X>, <Saw Chair>, <Masked Citizen X>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의자와 도구로서의 가면을 디자인하여 선보였었다. 외형적으로는 깔끔하게 디자인 방식으로 제작 되어 있지만, 사용하기 불편하거나 위험한 물건으로 만들어 버린다. 그리고 불필요한 기능들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바로 확인 할 수 있는 작업들이다. <Common Sense>는 제품의 설명서와 같이 도구 자체에 사용법을 유추 할 수 있는 텍스트를 사용한 작업들과 <Ectoplasma>에서 선보였던 작품들은 공산품의 외형을 미니멀한 조각처럼 보여주고 있다. 그 이후의 <13 Balls>전시에서는 사람들에 의해 오랜 시간 동안 자연스럽게 형성된 여러 가지 게임들의 규칙과 틀을 없애면서도, 그가 만들어 놓은 구조 안에서 사람들이 참여하여 새로운 규칙들을 생성해 새로운 게임을 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가장 최근의 <Cherry Blossom>전시에서 어떤 상황들을 드러내는 포즈를 취하고 있는 여러 인물상들이 등장하는데, 이는 작가가 어떤 대상의 서사구조 보다는 이상 야릇한 상황을 만들어 내고 있다. 잭슨홍의 작품들은 기본적으로 디자인의 문법을 바탕으로 출발하였기 때문에 지극히 현실적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초현실적으로 보인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특징들과 이와 연관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인 배경과 연결되면서 새로운 의미들이 발생한다. 그가 전시의 계획을 세우면서 만드는 도면, 작품 제작을 외주로 의뢰하는 작업 제작방식은 유기적인 계획과 순수미술의 전시를 통한 우연적인 요소가 변증법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과정으로 만들어진 상상력을 증폭시키는 작업들을 통해 이를 확인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간단히 살펴본 그의 작품들을 몇 가지 키워드로 정리해 보자면 몰개성적이고, 위험하거나, 기존의 용도와는 다른 사용법, 그리고 아주 정교하거나 수공적이지 않은 것이 그의 작업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초기의 그는 순수미술계에서 활동하면서도 디자인의 기본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해 왔다. 이것은 디자인된 물건들에 대한 존재론적인 시각과 디자인을 바라보는 인식론에 대한 이야기를 모두 담아내고 있다. 그리고 이런 점들이 지금까지의 그의 작업에서는 큰 장점으로 작용해 왔지만, 이제는 오히려 경계를 넘나들기 보다는 경계와 또 다른 경계 사이에 이르러서 서로의 구분이 모호하게 되었다. 그가 순수미술 쪽으로 옮겨 가는 동안 순수미술도 디자인의 문법을 차용하여 사용하면서 서로의 경계가 자연스럽게 가까워 지고 있다. 이렇게 모호해진 관계성 안에서 그는 어떤 작업들을 해나가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는 그의 작업에서 어떤 의미와 방향성을 찾아 낼 수 있을지 이번 개인전을 통해 살펴보자.
이번 전시제목은 <Autopilot>이다. 자동조종장치의 사전적 의미는 항공기나 배가 원하는 방향과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자동적으로 조작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나의 의지로 목적지를 설정하여 실행될 때에 움직이지만 자동조종으로 전환되면, 나의 생각과는 상관 없이 스스로 균형을 잡으면서 지정된 방향으로 갈 수 있다. 이렇게 이동하는 시간에 주체인 ‘나’는 원래의 목적성과는 상관없이 다른 행동을 할 수 있다. 원래의 목적인 이동은 ‘나’ 에서 벗어나 운송수단으로 이동되며 내가 조작하여 주체가 되어 움직이지만 이 이동 시간은 나와는 분리된 상황이 되어버린다. 나의 행위는 없고 의지만이 투영된 기계의 움직임은 온전히 기계의 시간이 되며, 나와는 관계 없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언제나 스위치를 키고 끄는 단순한 행동 하나만으로도 이러한 상황들의 개입과 이탈이 쉽게 전환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시의 타이틀은 위에서 살펴본 대로 오늘날 우리가 처한 상황을 내포하는 동시에 작가 자신의 작가적인 상황과 위치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제목으로 인하여 이번 전시는 작가 스스로가 지금까지의 작업세계를 반추해보는 과정에서 발생하였을 것임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전시는 어떤 의미로든 그에게는 이정표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번 전시 이후의 일은 아무도 알 수가 없다. 작가가 이야기 하듯이 폭발 이후의 모든 것이 소멸되고 새로운 시작이 될 것인지, 아니면 폭발 이후에 남은 것들을 가지고 재건 될 지 아니면 폭발이 없을지는 작가를 포함한 그 누구도 모르는 상황이므로 단지 지금 전시장의 작품들에서 우리는 예측해야만 한다.
전시 타이틀은 커다란 단서를 내포하고 있지만 작품을 살펴보면 바로 대입하여 생각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면 이번에 선보이는 작업들은 어떤지 살펴보도록 하자. 여전히 그의 작업은 단순한 형태의 매끈한 표면, 다양한 색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무엇인지 추측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사실은 파악하기 힘든 여러 작품들이 전시장 이곳 저곳에 배치되어 있다. 다들 어떤 것의 부속품과 같이 보이기는 한다. 이는 프라모델을 만들 때 참고하는 도면을 볼 때 부속품들이 공중에 부유하는 것처럼 보이는 시각적인 효과와 비슷하다. 그런데 이 작품들은 어떠한 목적성에서 벗어나 있고 방향성도 불분명하다. 미니멀리즘 조각을 연상시키는 외형을 가진 이 작품들은 오브제 하나하나가 원래 부품이어서 조립되어 하나의 것으로 완성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원래 하나의 것에서 분리된 것인지 혹은 서로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이로 인해 오브제의 개별적인 의미와 맥락을 어떻게 연결해야 할지 난감해진다. 작가는 그렇다면 왜 이렇게 불가해하면서도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는 애매한 작품들을 설치하였을까?
그의 작업은 단순한 형태로 잘 고안된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성을 내포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질서로 떨어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설치작업들은 하나의 공간에 서로 다른 것들이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조화와 평정의 상태에 있다고 보인다. 이 평정에 의해 완성된 공간들은 서로의 힘에 의해 중심을 잡고 있지만 무중력과 같은 공허함과 함께 그 이면에 힘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파편화되는 것은 찰나의 순간이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주체로 존재하지 못하는 파편인지 각자의 주체성을 가진 독립체인지는 불분명 하다. 하지만 파편들이 가지고 있는 곡선 적인 형태들은 사라진 부분을 유추하거나 상상하게 만들면서 무엇인가 계속해서 지속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놓는 자유로운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완결된 작업으로 보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개별의 작품들이 미완의 형태로 보이기 때문에 특별한 작가만의 이야기를 찾아 낼 서사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최근 잭슨홍의 작업 안에서는 예술의 자율성과 독자적인 법칙이 드러나지도 않으며, 소위 예술이든 디자인 혹은 대중매체들이 수용자에게 무엇인가를 전달해주어야 한다고 강박적으로 언급하는 즐거움과 유익함, 깨달음, 교훈 등의 메시지는 찾아 볼 수가 없다. 다만 현대 미술에서 많이 사용하듯이 우리가 기존의 배열에 익숙해진 기술과, 도구, 그리고 공간에 대한 다른 가능한 방식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행위 다시 말해 기존의 프로그램을 다시 설정하기 위하여 기존의 프로그램을 무효화 하는 근본적인 태도만이 남겨져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살펴본 그의 작업에서 중요한 것은 그가 어느 하부 구조의 특정한 관점의 틀을 통해서 대상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그 틀 속에서도 계속해서 균형을 잡아 나가면서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버리지 않는 그의 태도와 행동방식이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그것이 디자인이든 만화든 순수 미술이든 중요하지는 않다. 결국은 특정한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인식하고 실행하면서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한다. 그리고 과거나 먼 미래를 바라보기 보다는 현재에 충실하면서 오늘의 이전과 이후를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시 정리해보자면 그의 작업의 요체는 굳건한 경계를 계속해서 넘나들면서 흐리게 만드는 작가의 인식과 태도 그리고 실천에 달려 있으며, 그 과정에서 균형을 잡기 위한 노력을 통해 평정을 유지하는 것이다. 결국 그의 이러한 작업은 하나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완성하기 위함이 아니라 지속적인 변화와 흐름을 통해 완결되지 않게 만드는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들은 이전의 작업과 같은 선상에 있지만 특정한 서사나 구조를 드러내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가 현재를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를 반영하고 있다. 결국 <Autopilot>은 잭슨홍이 끊임없이 변화해가는 오늘의 예술과 사회,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 태도를 그만이 보여줄 수 있는 예술의 가장 순수한 형식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작업에서 드러난 그가 평정과 균형을 이루기 위한 행위들은 앞으로 그의 작업이 어떻게 변모해 나갈지 기대하게 만드는 요소이다.
By Shin Seung-oh, Director of Perigee Gallery
Fixed notions and frames cannot be shattered with ease no matter how hard we try to blur their boundaries. In contemporary art, endeavors and experiments to blur such boundaries have been consistently conducted but they are considered simple incidents or such endeavors themselves establish their own domain. As Jackson Hong has worked at the border between fine art and design, his work can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apropos of such a border. In a sense, however, such a perspective may work as a frame to confine interpretations of his work. The features and tendencies of his works from juvenilia to recent pieces are examined while giving attention to such points.
His early works such as Iron Chair X, Saw Chair, and Masked Citizen X display designs of chairs and a mask as a tool. They are seemingly tidy in terms of design, but inconvenient and even dangerous for use. Users are able to visually check their unnecessary function immediately. Common Sense employs a text that hints at how to use a tool as in a product manual, and works exhibited at the Ectoplasma shows the outer appearances of industrial products like minimalist sculptures. In the exhibition afterwards, Hong got rid of the rules and regulations of various games naturally formulated over a long period and created new rules for viewers to join and enjoy games. His latest exhibition Cherry Blossom featured figural statues in poses disclosing some situation. At the show he generated uncanny situations rather than creating any narrative structure for some objects.
As Hong’s works are predicated on design idioms, his works appear extremely realistic while simultaneously looking surrealistic. They bring about new meanings, naturally associated with the hallmarks of design work and their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al backgrounds. His methods of producing works – drawing up a floor plan for an exhibition and commissioning pieces required – are dialectically bound up with his organic plan and accidental factors in an art exhibition. We are able to confirm this through his works produced in this process that trigger our imagination.
His works reviewed above can be defined with a few keywords: they are depersonalized and even dangerous as well as very exquisite yet not manual. In his early days, Hong effectively used elemental factors of design while working in the fine art scene. His juvenilia hold his ontological perspective toward designed items and his epistemic narratives on design. This aspect has been a big advantage but any distinction between fine arts and design in his work presently becomes blurred. Fine arts is becoming more like design as it has adopted the idioms and grammar of design, while he moves to the territory of fine arts from that of design. We can catch a glimpse of this blurred relationship between fine arts and design and what meaning and direction we are able to find in his work through this solo show.
The show's title is Autopilot, a system used to control the trajectory of vehicles such as airplanes and ships without constant hands-on control by a human operator. This system works when I set a desired destination. But, if in an automatic mode, it steers a vehicle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disregard of my intent. The subject “I” can do another act regardless of my purpose during a time of movement. Originally, I operate a vehicle to move somewhere as the subject, but this time movement becomes separate from me. A machine’s movement involving only my will, not my action, may be seen as something extrinsic to me. But our involvement in and escape from some situation can be made with a simple act of turning on or off a switch.
As examined above, the exhibition title is considered to connote the situation we currently face and the circumstance and position the artist is presently in. With this title, we can also assume that this exhibi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the artist himself ponders over in his own work. Thus, the exhibition will be a milestone for his artistic development but nobody knows what will happen after the art show. As no one including the artist himself knows if there will be an explosion and all will perish or there will be no explosion and all will remain intact, as he mentioned, we have to make predictions based on the artworks on display at the venue now.
While the exhibit title contains a critical clue, his works on show do not remind viewers of its meaning immediately. If so, let’s examine works on display at this exhibition. His works still appear simple in form, sleek on the surface, and various in color. We can guess what his works are but we do not know exactly. They look like part of something. They arouse a visual effect similar to what we feel when seeing parts of a plastic scale model. These works seem to have no purpose or direction. These works reminiscent of minimalist sculptures are unclear in whether they are parts of an object to be a completed, something separated from one item, or things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each other. We are at a loss at how to relate to each object’s meaning and context. If so, why did the artist display such inexplicable works that may be diversely interpreted?
His works are characterized by their outer appearances well devised in a variety of simple, orderly forms. They seem to be in a harmonious, peaceful state in the same space. They stay balanced by each other’s force but they may become fragmented in a moment if any balance of this force is shattered.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these are nothing but fragments that cannot be subjects or distinct entities with their own subjectivity. These curved shapes are free forms open to the possibility of being maintained while having viewers assume or imagine missing parts. They look like completed works but appear incomplete in a sense, so it is hard to discover any narrative unique to the artist in these pieces.
Neither artistic autonomy and freestanding principles nor any messages for enjoyment, instruction, or enlightenment are found in Hong’s latest works. What’s left in these works is his elemental attitude to invalidate preexisting programs by setting a new program: an act to present another way of using familiar techniques, tools, and spaces. Thus, what’s important in his work is not to see objects through any specific perspective or frame. It doesn’t matter whether it is design, cartoon, or fine arts. His work is after all not seeking any specific value but constantly perceiving and practicing, presenting a situation in which we can move more flexibly. And his art is to formulate circumstances before and after today while being faithful to the present rather than looking at the distant past and future.
To reiterate, the key factor of his work depends on his perception, attitude, and practice to blur the solid boundaries and stay calm through endeavors to keep a balance in this process. He makes something incomplete through constant change and flow, not to complete a new paradigm. The works on show at this exhibition are an extension of his previous pieces. But, they are not trying to convey any message through a specific narrative or structure but to reflect hi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present. The exhibition aims to showcase his attitude of perceiving today’s art and society that has consistently changed and himself in the purist form of art. Accordingly, we look forward to his upcoming work and transformation.